안녕하세요 오늘은 WOL을 이용해서 원격으로 PC 부팅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결과 화면입니다. 포스팅 마지막에 풀 영상으로 올렸습니다.
WOL을 이용한 원격 PC 부팅
저는 iptime으로 했고요. WOL으로 부팅이 안될 때 해결 방법도 포스팅 아래에 정리해서 작성했습니다.
WOL이란 ?
웨이크 온 랜(Wake-on-LAN, WOL)은 네트워크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컴퓨터의 전원을 켜거나 절전 모드에서 깨어나게 하는 이더넷 컴퓨터 네트워킹 표준입니다.
위키백과
윈도우 설정 > iptime 설정 > 메인보드 설정 > 모바일 설정순으로 포스팅했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WOL 윈도우설정
검색 > 네트워크 연결 보기 > 사용하는 이더넷 더블클릭 > 속성 > 구성 순으로 진입합니다.
고급에서 Wake on 매직 패킷, Wake on 패턴 일치를 활성화해주고 전원관리 옵션의 체크를 모두 해제합니다.
검색 > 전원 관리 옵션 선택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 빠른 시작 켜기(권장) 체크를 해제하고 변경 내용을 저장합니다.
iptime 설정
cmd > ipconfig /all를 쳐서 물리적 주소 즉 MAC Address 넘버와 기본게이트웨이를 알아둡니다.
브라우저를 켜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합니다. 저와 동일한 iptime 페이지가 뜨시는데요 처음 들어오시면 id/pw가 admin/admin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패스워드를 잊어버렸다면 공유기를 Reset 해야 합니다. 공유기 뒷부분에 RES 구멍을 찾아 얇은 도구로 지그시 눌러줍니다.
개인 정보 보호상 외부 IP 주소는 빨간 네모 쳤습니다 저기에 있는 외부 IP 주소로 iptime을 접속하고, iptime에서 컴퓨터로 메시지를 보낼 것입니다. 외부 IP주소 잘 기억해두세요.
만약 외부 IP주소가 192로 시작한다면 상위 공유기가 하나 더 있으므로, 상위 공유기의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래 해결 방법에 작성 해놓겠습니다.
고급 설정 > 보안기능 > 공유기 접속/보안관리에서 원격 관리 포트 사용을 클릭하신 뒤 자신이 기억하기 쉬운 포트 번호를 아무거나 설정합니다. 가용 포트 번호는 0 ~ 65535입니다. 저는 15555 포트를 임의로 줬습니다. 위에서 알아둔 외부 IP:15555로 외부에서 접근할 것입니다.
고급설정 > 특수 기능 > WOL 기능에서 MAC 주소를 ipconfig /all 에서 봤던 문자와 숫자를 적습니다. 귀찮으시면 현재 접속된 PC의 MAC주소로 설정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에서 호스트 이름을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하되 중복되지 않을 것 같은 호스트 이름을 추천드립니다. 사용자 ID도 본인이 기억할 수 있는 ID 아무거나 입력하시고 DDNS등록 버튼을 누릅니다. 제 화면과 같이 '정상 등록'이 뜨도록 해주세요.
메인보드 세팅
저는 msi 메인보드를 이용합니다. 다른 메인보드를 사용하신다면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WOL 메인보드 설정'이라고 치시면 다양한 정보가 나옵니다. SETTINGS에 들어가서 Advanced를 클릭합니다.
Wake Up Event Setup를 들어갑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다른 포스팅은 Resume By PCI-E Device 세팅만 Enabled 하면 된다고 하는데 저 같은 경우에는 이렇게 하면 원격 부팅이 안됐고요. 아래의 Resume By Onboard Intel LAN까지 Enabled 해줘야 원격 부팅이 가능했습니다.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모바일 설정
모바일 스토어에서 WOL이라고 치셔서 ipTIME WOL를 다운로드합니다. 그런 다음 앱을 실행하여 공유기 수동 추가 버튼을 선택합니다.
외부에서 공격이 많이 들어와서 전 모자이크 처리를 하겠습니다.
먼저 외부 네트워크 공유기를 선택하시고 공유기 이름을 세팅해 주세요 그런 다음 외부IP는 위에서 iptime 설정할 때 외부 IP를 작성해 주시고요 포트 번호도 설정한 포트 번호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예시로 포트 번호를 15555로 했네요. 그런 다음 공유기의 id/pw를 입력하시고 공유기 연결을 누릅니다. 만약 여기서 지연이 되면서 에러 메시지가 뜨거나 저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하단에 내용이 생기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다시 한번 iptime 설정을 확인해보시고 그래도 안된다면 아래의 해결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정상적으로 위 사진 오른쪽과 같이 뜨셨다면 공유기 추가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공유기 추가가 완료되면 PC를 정상 종료한 뒤(꼭 정상 종료하셔야 합니다. 강제 종료하니깐 올바르게 신호가 가지 않습니다.) 모든 와이파이를 끄시고 데이터통신으로 쌩 외부에서 신호를 한번 보내 보세요. 성공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 고생하셨습니다.
해결 방법
올바르게 부팅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입니다.
먼저 첫 번째는 위의 설정 방법을 다시 한번 숙지하시고 설정에 오타가 없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두 번째는 저 같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는데요.
외부에서 접근할 때 첫 번째 공유기(192.168.75.1)에서 포트포워딩 방식으로 2번째 공유기(192.168.0.1)로 이동했는데요 1번째 공유기에서 계속 신호가 막혀버리더라고요, 그래서 1번째 공유기(192.168.75.1)를 브릿지 모드로 둔 다음 외부에서 바로 2번째 공유기를 통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브릿지 모드는 공유기마다 설정 방법이 틀리기 때문에 따로 사진을 올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기본게이트웨이로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셔서 메뉴 하나하나 차근차근 눌러보시면서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회사에서 집 PC를 켤 때 주로 사용합니다. WOL로 PC를 부팅하고, 원격 접속으로 PC를 사용하다가 종료하시면 됩니다.